ERP 시스템 <SAP> 기본조직구조

2022. 6. 8. 22:48카테고리 없음

SAP FI(Financial accounting) 모듈의 기본 구성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이전 글에서 정리했던 것과 같이 재무회계 FI 모듈은 General Ledger, Sub Ledger 로 구성되며 각 Ledger 에는 Master data 가 필요합니다. Master Data가 어떠한 세부정보를 가지고 있고 어떻게 활용되는지 간단히 이해해보겠습니다.

 

 

*G/L(General Ledger)

G/L(General Ledger) 컴포넌트의 Master Data는 아래와 같습니다.

- G/L Account Master Data (계정과목 마스터)

- Bank Master Data (은행마스터)

- Travel Management Master Data (출장관리 마스터)

다만 출장관리 마스터를 구축하여 사용하는 국내 회사는 드물다고 합니다. 또한, 만약 SAP HR 모듈을 도입한다면 TM 마스터를 별도 관리할 필요가 없습니다. HR 모듈에서 관리되기 때문입니다. 국내에서는 별도 웹으로 개발된 E-accounting 시스템을 구축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간혹 해외에 본사를 두고 국내에 계열사를 두는 회사의 경우 SAP Standard TM 기능을 사용하는 케이스도 있다고 합니다.

 

 

*Sub Ledger

Sub Ledger 컴포넌트의 Master Data는 아래와 같습니다.

- Account Receivables : Customer Master Data (고객 마스터)

- Account Payables : Vendor Master Data (구매처 마스터)

- Asset Accounting : Asset Master Data (자산 마스터)

 

 

그 외, FI 모듈에서 알아두면 좋은 개념에 대해 추가 작성하였습니다.

- Profit Center : 회사내 자산/부채/수익/비용의 구분 및 손익 센터간 배부를 통해 Business Unit(사업부) 단위의 재무제표를 산출하기 위한 조직단위, 조직 내 구분회계 관점에서 손익을 산출하고 자산이 관리되는 최소단위입니다.

 

- Business Place : 부가세 집계 및 신고 단위로 전표에서 세금코드가 입력되는 Line Item에 함께 입력되며, 사업자단위과세인 경우 주된 사업장 및 종사업장의 구분단위로 코드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사업장별 집계된 부가세 정보를 추출하여 부가세 신고 리포트 및 부가세 전자신고파일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 Cost Center : 코스트센터의 경우 조직 구조이면서 Master Data 이기도 합니다. 비용을 구분/집계하는 최소 단위의 부서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전표 입력시 코스트센터가 입력될 경우 Cost Center 마스터에 등록되어 있는 Profit Center, Business Area, Functional Area 등이 자동으로 입력되게 됩니다.

 

- IM (Investment Management) : 투자관리, PS(Project System) 프로젝트 위주로 비즈니스가 수행되면 사용합니다.

 

- TR (Treasury) : 자금관리

 · Cash Management : 단지, 중기 측면의 현금 유동성 예측, 현금흐름 관리

 · Treasury Management : 예적금 가입, 차입금, 회사채 등 자금거래와 관련된 트랙잭션 관리

 · Cash Management and forcast : 중장기측면의 현금유동성 예측

 · Market Risk Management : 시장 위험관리, 현재 자금의 위험도 측정 등

 

- CO (Controlling) : 관리회계

 · Overhead Cost Accounting

 · Product Cost Accounting : 제품 단위별로 투여되는 원가계산(제조원가)

 · Profitability Analysis : 기업의 수익성을 분석(제품별, 고객별, 시장별) 마켓 세그먼트별 분석

 · Profit Center Accounting : Profit Center 라는 조직 유닛별로 수익성 분석

 · Activity Based Costing : 활동기반원가 측정(노무비, 경비 등 원가 측정 시 활동원가로 측정)

 

EC (Enterprise Controlling): 전략적 의사결정을 관리하는 관리회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