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P 시스템 <SAP> 마스터데이터

2022. 6. 12. 23:01카테고리 없음

SAP의 구성에 대해 아래와 같이 아주 간략하게 정리해볼 수 있습니다.

 

SAP

⊃ 각 모듈 (FI, MM, SD, PP 등)

⊃ FI (재무회계) 모듈

⊃ G/L 총계정원장 (General Ledger)

⊃ Sub Ledger (Subsidary Ledger)

⊃ Account Payable (including Vendor Master)

    Account Receivable (including Customer Master)

    Asset Accounting (including Asset Master)

 

 

하위 구성요소인 구매처 마스터와 고객 마스터에 대해 작성해보겠습니다.

 

구매처 마스터 (Vendor Master)

구매처 마스터의 Vendor Account Group이란 유사한 Vendor을 그룹핑하는 그룹핑 키값입니다. 그룹핑 기준은 회사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국내매입, 해외매입, 관계회사, One-time Vendor, Employee Vendor, 법인카드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MM 모듈의 프로세스에 의해 구매처 마스터에 데이터들이 집계됩니다.  MM 모듈 Process는 아래와 같습니다.

"PO > G/R > I/V"

1) PO(Purchase Order): 구매오더를 생성하는 단계이며, 회계 전표가 생성되지 않습니다.

2)  G/R(Good Receipt): 입고 단계입니다. 해당 단계에서는 회계 전표 ( Stock 1,000원 / GR,IR Clearing 1,000원 )가 발생되며 이는 G/L 총계정원장으로 반영됩니다.

3) I/V(Invoice Verification): Accout Payable(Vendor Master)로 반영되는 단계입니다. 해당 단계에서도 역시 회계전표 ( GR,IR Clearing 1,000원 / Account Payable 1,000원 )가 발생됩니다.

 

 

고객 마스터 (Customer Master)

구매처 마스터와 마찬가지로 유사한 성격의 Customer를 그룹핑한 키값이 Customer Account Group 입니다. 이는 회사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내수, 수출, 관계회사, 개인, One-time Customer 등으로 구분됩니다.

 

참고로, 구매처/고객 마스터에서 Regular 거래처와 One-time 거래처의 정보 입력 차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Regular 거래처는 지속적으로 거래가 발생하는 대상으로써 Master Data에 모든 정보가 관리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반면 One-time 거래처는 일회성 거래가 발생하는 대상입니다. 모든 정보를 관리할 필요가 없으며 일반정보만 관리합니다. 거래 발생 시에 해당 정보를 Document Posting (전표 기표) 시점에 디테일한 정보를 등록합니다. 추가로, SAP은 동일 거래처라도 Customer와 Vendor Master를 각각 관리해줘야 합니다.

 

SD 모듈의 프로세스에 의해 고객 마스터에 데이터들이 집계됩니다. SD 모듈 Process 아래와 같습니다.

"S/O > Shipping > Billing"

1) SO(Sales Order): 판매오더를 생성하는 단계입니다. 따로 회계 전표가 생성되지는 않습니다.

2) Shipping 및 Good issue: 내부적으로 delivery order 을 내리고 선적하는 단계입니다. 회계전표 ( 매출원가 1,000원 / Stock 1,000 )가 발생되며  G/L 총계정원장으로 반영됩니다.

3) Billing 송장발부: 회계전표 ( AR Invoice 1,000원 / 매출 1,000원 )가 생성되며 매출세금계산서를 발행하는 단계입니다. 생성된 회계전표에 따라 Account Receivable(Customer Master)로 정보가 반영됩니다.

 

 

마스터 데이터 변경과 관련하여 Dual Control Pinciple 이라는 기능이 있습니다. 마스터 데이터에는 상급자의 확인이 필요한 계좌정보 같은 필드들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필드를 IMG에 등록해놓으면 필드에 대한 변경이 발생할 경우 승인자가 승인을 해줘야만 거래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체크 Rule 을 Dual Control Principle 기능이라고 합니다. 해당 기능을 사용한 적이 없어서, 있는지 몰랐습니다. 본 기능을 실무에 사용하면 Human error를 줄이고 내부회계 목적에도 부합할 것으로 생각합니다.